추석은 원래 한가위라고 부르는데요~
특히 한가위의 "한"은 "크다"라는 뜻이고, "가위"는 "가운데"라는 뜻으로
8월의 한가운데 있는 큰 달이란 뜻으로 불리게 되었어요!!
가위는 신라시대의 가배에서 나오는 유래인데요~
이 가배는 신라시대 "회소곡"이라는 노래와 춤을 추며 놀았고 이 풍습이
현재까지도 내려오며 추석이 되면 다양한 민속놀이 풍습도 보실 수 있어요~!
![](http://postfiles5.naver.net/20150914_36/6423750_1442215284550oCsg4_JPEG/5.jpg?type=w1)
우리나라 명절은 서양과 달리 음력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정말 많아요~
특히 보름달과 연관이 많은데 그중에는 음력 팔월의 보름달이 일 년 중 가장 밝은 달로
양력으로는 9월에 아름답고 밝은 달을 볼 수 있어 명절 추석이 생겨나게 되었어요!!!
![](http://postfiles3.naver.net/20150914_18/6423750_1442215284860gE68j_JPEG/7.jpg?type=w1)
추석은 "한가위", "중추절", "가배" 등 수많은 명칭이 있는데요~
특히 이 날은 설날, 단오절과 함께 우리나라에서 큰 명절로 알려진 삼대 명절 중 하나이며
추석이 다가오면 한 해 농사의 결실을 거두는 때이므로 모두들 새 옷으로 갈아입고
햅쌀밥과 송편을 빚어 조상의 산소에 성묘하고 제사를 지내게 되어
현재까지 풍습이 전해지고 있다고 해요!
TIP
추석(한가위)이 되면 추석 인사말을 알아보시는 분들이 정말 많으신데요~
추석은 모든 분들이 다 풍성하게 열매 맺는 결실의 계절이므로
"더도 말고 덜도 말고 늘 한가위 날만 같아라"라는 속담이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래요~
곧 다가올 우리나라 대표 명절 추석!
아름다운 추석을 보내는 것도 좋지만 어떠한 역사로 인해 추석이 생겨났는지
알고 지낸다면 마음 따뜻하고 아름다운 명절을 보낼 수 있지 않을까요?^^
張寒植 공기돌 옮김.
( 섹소폰, 지금도 가고 싶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