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처에서 갑짜기 뚫린 거대한 구멍
구멍 속으로 빨려들어 가는 속수무책인 자동차 사고들.

달리던 자동차 갑짜기 지면이 붕괴되면서 구멍속으로 떨어진 사진을 최근 많이 접하게 된다. 상상하는 것 만으로도 소름끼치는 이야기이지만 여기저기서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원인에는 지질과 기후에 의한 천재지변에 가까운 것에서부터 결함공사와 같은
인재에 의한 사고까지 세계 곳곳 에서 발생한 공포의 도로함몰 사진을 소개한다.

이 사진은 2007년 발생한 도로 함몰현장으로 직경 20미터, 깊이 150미터이르는 초대형 구멍이었다. 이 구멍에 주택 20채가 삼키고 3명이 행방불명되었다.

지난 6월 중국 남부 남창시(南昌市)에서 운전 중에 갑짜기 발생한 도로함몰 사건으로
운전자는 구사일생으로 목숨을 구했다.

이 사진은 과테말라 수도 과테말라시티 중심가에서 6월초에 발생한 도로 함몰현장 모습.
시가지 교차로 한 가운데 거대한 구멍이 출현했다. 직경 20미터, 깊이 60미터로 시민들도
충격을 받았다. 이 사고로 주택 몇 채가 소실되고 건물 경비원 한 사람이 사망했다.



위 사진 설명 : 6월30일 밤, 말레시아의 한 도로에서 폭 5미터에 걸쳐 붕괴.소실된 도로 현장. 이 천재지변으로 트럭 한 대가 구덩이로 떨어졌으나 다행히 사망자는 없었다. 경찰은 현재 도로붕괴의 구체적인 원인을 조사 중에 있다.


러시아 제르진크스라는 거리의 주차장에 갑짜기 나타난 거대한 구멍.
지반침하와 함께 자동차도 서서히 구멍 속으로 빨려들어 가고 있었다.






초대형 사고로 이어질뻔 했던 주유소를 직격한 함몰현장 모습














미국 플로리다주 탬파 주택가 한 복판에 커다란 구멍이 뚫려 자동차를 집어키고 구멍이 점점 커지는 바람에 인근에 위치한 11가구의 주민들이 긴급하게 몸을 피했다고 11일 미국 언론들이 보도했다.
이 구멍은 현지 시간 일요일 아침 갑자기 생겨 폭과 깊이가 각각 6m, 3m인 이 구덩이는 현재 폭과 깊이 모두 점점 넓어지는 동시에 깊어지고 있다고. 다행한 것은 이 구멍으로 인해 다친 사람은 아직까지 보고되지 않고 있다고.

사족(蛇足):
"수수께끼의 괴구멍"'에 대한 명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지만 학계에서는 이를 "싱크홀(Sinkhole·땅꺼짐)" 이라고 부른다. 석회암 지형에서 자주 발생하며 석회암이 지하수에 녹아 지반이 침하되는 현상이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신중호 책임 연구원은 "싱크홀은 지표면의 토질에 따라 갑자기 큰 구멍이 생기면서 꺼지기도 하고 서서히 ! 무너지기도 한다" 고 말했다. 최근에 화제가 되고 있는 "괴구멍"은 전자에 속한다고 밝혔다. 이 경우는 피할 겨를도 없이 순식간에 땅이 내려앉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다.
신 연구원은 지반침하의 원인에 대해서는 "석회암 지형 때문이기도 하지만 과도한 지하수 개발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다"고 말했다. 그 는 "약 10년 전남 무안에서 지하수 개발로 지반이 침하 되는 현상이 나타난 적이 있다"고 말했다. 지하수도 지반을 구성하는 한 요소이기 때문에 이를 다 퍼내면 지표면이 무너질 수 있다는 것이다. 쓰촨성의 "괴구멍"에 대해서도 전문가들은 오랜 가뭄으로 고통을 겪고 있는 주민들이 무리하게 지하수를 퍼내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났다고 분석한 바 있다.
과테말라 "괴구멍"에 대해서는 당국은 당초 열대성 폭풍 ‘애거사’가 동반한 폭우로 지반이 깎여 만들어진 것이라고 발표했으나 이튿날 입장을 바꿔 생성 원인을 자세히 조사하겠다고 밝혔다. 주민들은 “노후 하수도에서 새어 나온 물이 지반을 약화시켰으며 당국의 늑장대응 때문에 이런 일이 벌어졌다”고 주장하고 있다.
어느날 갑자기 예고도 없이 땅이 무너지는 '괴구멍'은 석회암 지역에서 끊임없이 나타나는 자연현상이기도 하다. 그러나 환경론자들은 도심이나 주택가에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것은 무분별한 개발로 인한 "자연의 경고" 라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지하수 개발이 무분별하게 이뤄진다면 "싱크홀"은 무! 서운 "블랙홀"로 돌변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 Posted by ccooffeeLab -
http://kr.blog.yahoo.com/wsshimtw/1548
11월 1일 독일 중부 Schmalkalden의 주택가에 발생한 불랙홀
--A giant sinkhole opened up in a residential area of the town of Schmalkalden, Germany--
독일 중부 슈말칼덴(Schmalkalden)의 주택가에 11월 1일 직경 30~40m, 깊이 20m에 걸쳐 도로가 함몰한 거대한 구멍이 생겼다. 이 사고로 주차중었던 자동차 한 대가 구멍속에 빠졌으나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다.









수수께끼의 블랙홀(Sinkhole)은 점점 커지고 있어 주민들은 안전지대로 대피하고 있다. 경찰 당국은 현재 도로가 함몰한 정확한 원인를 조사중에 있다.
http://kr.blog.yahoo.com/wsshimtw/1784
5월 27일부터 시작된 과테말라의 화산, 지진, 폭풍, 홍수의 겹친 자연재해를 입었다. 게다가 원인을 알수없는 공포의 거대구멍이 주택가에 생겨서 집 한채를 삼켜버렸다.
5월 27일 Pacaya산이 용암과 화산재를 분출하면서 과테말라시 전체를 화산재로 뒤덮어 버렸고, 공항이 폐쇄되고, 이를 보도하던 기자가 사망하기도 하였다. 설상 가상으로 복구 중에 다시 발생한 열대폭풍은 많은 비를 몰고와서 화산재의 홍수와 함께 산사태 등을 일으켰으며 거대한 수직 구멍은 아직도 그 원인을 알수없다.

산사태로 집에 몰려 들어온 진흙.

산에서 흘러내리는 용암. 5월 28일.

화산지역에서 간신히 구조된 신문기자

차량에서 긁어낸 화산재

화산재로 뒤덮인 여객기. 과테말라 국제공항.

정부는 위험지역에서 아이들을 우선 대피시켰다.

화산에서 날라온 돌에 맞아 부상당한 사람. 눈위에 꿰멘자국이 선명하다.

화산재로 뒤덮인 시골어느 마을. 화산재는 암석조각으로 보통의 불이난후 재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무겁다.

화산의 주변 주민들은 딴곳으로 대피한 상태. 아직도 그들은 다시 화산이 폭발할것
을 두려워하고있다.

열대폭풍이 지나간 바닷가. 많은 부유물들이 해변에 쌓여있다.

사람들이 복구를 위해 폭풍의 와중에도 화산재를 제거하고있다.

홍수가 난 거리에서 한 소녀가 막힌 배수구를 찾아 뚫을려고한다.

열대폭풍과 동반된 폭우로 산의 일부가 깍이고, 진흙이 쓸려내려오고있다.

다리가 절개되고 사람들은 잘린 다리를 이용해 여전히 강을 건너고있다.

집에서 퍼낸 진흙을 집 밖으로 퍼나르고있다.
강물처럼 물이 불어버린 시내의 길.

홍수로 떠내려와 완전히 망가져버린 차안에 뭔가 있을 것 같은 느낌에 아이들이 내부를 뒤져보고있다.

진흙이 창문까지 올라온 상태에서 그나마 자신을 깨끗하게 돌본 여인이 근심스럽게
이야기하고있다.

집은 망가졌지만 그래도 자기 개들을 찾고는 기뻐하고있다.

산사태와 진흙 가득한 강물이 한차례지나고 집에 들어와보니 감당이 안되는 상태다.
한 여인이 자기집을 둘러본 후 슬퍼하고있다.

침대만 꺼내서 바깥에서 잘려나보다. 어머니와 아들.

정부에서 공급된 구호물자가 창고에 쌓여있고 경비가 지키고있다.
군인들이 줄줄이 서서 구호물자를 나르고있다.

홍수로 잠긴 도시
구조대원들이 생존자 구조를 위해 산사태지역을 수색하고있다.
사람들이 흙이 뭍은 손으로 벽에 손도장을 찍었다.

산사태로 숨진 사람들의 시신
산사태로 11명이 사망한 지역에서 발견된 진흙더미에 반쯤 붙힌 승용차.
아내를 잃은 슬픔.
치워도 치워도 끊임 없는 진흙
주택가에 거대한 구멍이 생겼다. 사람들의 점근을 막기위해 경찰이 경비를 서고있다.

폭풍이 있는 동안에 주택가 사거리에 거대한 Sinkhole이 생겼다.
주택 3채와 4거리 중앙을 삼켜버린 거대한 구멍.
폭이 30미터이고, 깊이는 60미터이다. 여기서 3마일 떨어진곳에 3년전 유사한 거대구멍이 생기기도하였다.
http://kr.blog.yahoo.com/acftacft/3068
갑자기 호수에 구멍이??? 블랙홀????

***************************************************
일본 재앙 시작
(브라질 예언가의 적중율)
예지몽 예언과 편지를 보내는
주세리노 노부레가 다 루즈
Jucelino Nobrega da Luz (48)브라질
초능력자가 다시 수면위로 떠 오르고 있다
그가 최근 발간한 예언집[미래로부터의 경고]를 보면 날짜와 장소는 일부 불일치 한
부분도있지만 지진에 대한 예지몽 예측은 맞아 떨어진다.
예지몽을 통해 미래를 본다는 주세리노는 자신의예언을 해당 국가나 당사자에게 편지
형식으로 전달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그가편지를 보냈다고주장하는 사람 가운데에는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도포함돼 있다 올해 5월 쓰촨 대지진이발생할 것을 예언
후진타오 주석에게 편지를 보냈다고 주장한다.
주세리노는 자신의 편지에 2008년 5월 12일쓰촨성에서 규모 7.8의 지진이 발생할것
이라는 내용이 담겨져 있었다고 말했다부시 전미국 대통령(아버지)에게도 주세리노
의 편지를 받을 것으로 알려졌다세계무역센터가 테러당해 무너질 것이라는 사실을
1989년에 알아채고 부시 전 대통령에게 이 사실을 알렸다는 것.
1961년 브라질에 태어난 주세리노는 9살 때 동네 사람이 교통사고를 당하는 꿈을
꾸면서 예언을 시작했다고 한다 그는 또 체르노빌 원자력사고, 챌린저호 폭발
사건 등도 사건발생 전 예언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의 예언은 대다수는 그의 꿈(예지몽)에서 한다그가 과거 예언을 보면 다이아나
공주 죽음 8월31일(97일 차이) (1989년에 예언되는) 세계무역센터 공격
9월11일(01일 차이) 등등이 있다.

Copyright ⓒ 2006 National Highway Love Blog. All rights reserved.
***************************
지구의미래
미국의 다큐멘터리 전문 채널, Discovery Channel에서 방영돼 전세계적인 화제를 불러 일으킨, 시리즈 "The Future is Wild"
"The Future is Wild"는 지구가 수백만년 뒤 피할 수 없는 기상 변화로 엄청난 환경 재앙을 겪고 그 뒤에 새로운 생명체들이 생겨난다는 가정 하에서 만들어진 프로그램이다. 인간은 (다행스럽고도 편리하게도) 살던 지구를 버리고 외계 행성에 새 보금자리를 만들어 번성을 하게 됐고, 자신들의 고향별 지구에 탐사선을 보내 어떻게 자연환경이 변화했는지 알아본다는 스토리.
시리즈는 5백만년, 1억년, 2억년 후의 지구로 나누어 연재된다. 그 사이 지구의 기후와 대륙의 형상이 크게 바뀌었다는 점을 강조한다.
"The Future Is Wild"는 단순히 3개의 단편 시리즈로 끝나지 않고 아직도 계속해서 제작 중이다. 먼 미래의 밀림, 바다 등 각 세부 환경에서 진화했을 것 같은 생물체들을 충격적인 모습으로 그려내고 있는 매우 멋진 프로그램이다.
자 그럼, 미래의 거친 환경은 지구의 생물체들을 어떻게 진화시켰는지 알아보자.
Great Blue Windrunner 1억년 뒤의 지구에서 나타날 거대 비행 생물. 이 새의 특징은 2쌍의 날개로 평생 날아다니며 산다는 점. (최소한 번식을 하기 위해선 땅에 내려와야 할 텐데, 그 점을 설명되지 않았다.)
4쌍의 날개는 비행에 드는 에너지를 최소화하며 가장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해 준다. 심지어 잠도 날면서 자는 능력을 갖춘 대단한 새다.
Carakilla 500만년 뒤에 나타날 타조 비슷한 육식성 조류. 500만년 뒤에 나타날 육식 생물 중 가장 무서운 종류 중 하나다.
2m가 넘는 키에 강력한 부리와 60km/h 이상 달리는 빠른 뒷다리로 먹이감을 사냥하며 뒤통수에 있는 깃을 이용해 군집 간에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
이들은 집단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하며 지능적인 사냥을 하기 때문에 더 무섭다.
Deathgleaner 한번 날면 150km 이상을 날아갈 수 있는 박쥐 모양의 육식성 포유류.
높이 날다가 지상에 사냥감을 발견하면 순식간에 내리꽂아 사냥감을 덮친다.
Megasquid 2억년 뒤에 나타날 가장 거대한 무척추 육상 동물. 8톤에 달하는 거대한 몸을 가진 이 생명체는 놀랍게도 오징어의 후손이다.
8개의 빨판 달린 다리가 거대한 기둥처럼 몸을 떠받치고 있고, 2m에 달하는 촉수로 나뭇잎이나 과일을 따 먹고 산다. 바다 속의 오징어처럼 지상에서도 몸의 색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다.
Flish 2억년 뒤 바다 위를 지배할 포식자. 일명 날아다니는 생선. 날개를 퍼덕이며 날곤 있지만 사실은 날치가 진화한 어류다.
이들은 바다 위를 날아다니다가 사냥감을 발견하면 부리처럼 생긴 입에서 진짜 (생선) 입이 튀어 나와 먹이감을 낚아 챈다.
Ocean Phantom 바다 위를 항해하는 기이한 해파리 후손. 10m에 달하는 몸체는 에어 매트리스처럼 생겼으며 등에는 돛처럼 생긴 부분이 달려 있어 바람에 따라 이동을 할 수 있다.
바람이 없는 날에는 몸에서 자체적으로 제트 추진 가스가 나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몸 밑에 달린 촉수로 먹이를 사냥하거나, 번식와 육아를 동시에 할 수 있다.
Poggle 1억년 뒤 지구상에 마지막 살아남은 포유류. 몸무게가 100g도 나가지 않는 엄청나게 작은 사이즈로 최악의 빙하기를 살아남았다. 그러나 슬프게도 이 조그만 포유류는 기이한 종류의 거미에 의해 사육당하곤 한다.
거미는 포글이 즐겨 먹는 견과류를 쌓아 두고 이들이 이곳에서 번식을 하게 한 다음 성체가 되면 하나씩 잡아 먹는다.
Rainbowsquid 36미터 길이의 거대한 오징어류. 무서운 천적들을 피해 메가 스쿼드처럼 육지로 올라가지 못한 오징어들은 이처럼 덩치가 무한대로 커져 천적에 대항하게 되었다.
색을 자유롭게 바꿀 수 있어 몸을 투명하게도 만들 수 있다. 이 시기의 지구엔 덩치 작은 오징어는 거의 살아남지 못했다.
Sharkopath 2억년 뒤까지 살아남은 상어의 후손. 상어는 아마도 지구에서 가장 오래 생존한 척추동물일 것이다.
이들은 시속 40km의 빠른 속도로 헤엄쳐 다니며 옆구리에 발광 기관이 있어 다른 개체와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하다. 엄청나게 강한 턱힘은 예나 미래나 마찬가지.
Terrabyte 2억년 후에 등장할 개미의 미래형. 테라바이트는 예전과 마찬가지로 여왕개미에 의해 명령을 받는 슈퍼오거니즘의 형태로 움직인다. 단, 이들은 두개의 개체가 함께 다니는데, 밑에 캐리어 테라바이트가 다른 개체를 '들고' 다니는 형태다.
주로 자신과 다른 테라바이트들에게 먹이와 물을 전달하는 워터 테라바이트나, 적에게 화학물질을 뿜어 격퇴시키는 솔저 테라바이트를 들고 다닌다.
Toraton 1억년 뒤에 나타날 지구 역사상 가장 거대한 육상 생물. 120톤에 달하는 몸무게, 7m에 달하는 높이로 죽지 않기 위해 그야말로 하루종일 먹어야 사는 생물이다. 하루에 수십톤에 달하는 식물을 먹어치운다.

Bumblebeetle 몸에 지방을 축적해 하루에 800km를 비행하는 슈퍼 벌. 몸의 지방을 마치 연료처럼 사용한다. 곤충 진화의 마지막 단계라고 볼 수 있는 미래 생물.
"Future Is Wild" 시리즈에서 가장 충격적인 것은 미래의 곤충들이 포유류와 조류 같은 고등 생물들을 지능적으로 약탈한다는 점.
위에서 예로 든 거미에 의해 사육당하는 포글 설치류나, 위에서 소개되진 않았지만 서너 마리의 나방이 모여 꽃모양을 만들어 벌새를 유혹해 잡아먹는 사례도 제작된 바 있다.
위는 미래 지구의 '멸망'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데 이는 과학적인 근거가 있다.
미국 펜실베니아 주립대학 지구과학 교수인 제임스 케스팅 박사의 발표에 의하면, 지구내 모든 생명체는 향후 5억년안에 기온상승과 이산화탄소 고갈로 인해 멸종하게 될 것이라고 한다.
그의 지구종말 시나리오를 구체적으로 보면, 일단 기온상승으로 생물성장에 필수적인 이산화탄소가 대양에 녹아들면서 5억년내에 대기권 이산화탄소가 고갈, 모든 식물이 죽게되고 이는 식물에 의존하는 모든 생명체의 연쇄멸종으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워싱턴 대학의 우주물리학자인 도널드 브라운리 박사와 고생물학자인 피터 워드 박사도 이와 유사한 의견을 내놓았는데, 그들은 지구의 탄생시점을 0시로 설정하고 1시간을 10억년으로 봤을 때 약 45억년전에 탄생한 지구는 현재 오전 4시30분의 위치에 와 있다고 전제한 뒤, 오전 5시가 되는 5억년후에는 지구상의 동식물이 멸종하고 오전 8시가 되는 35억년후에는 바닷물이 모두 증발한다고 설명했다. 또 정오가 되는 75억년후에는 지구가 끝없이 팽창하는 태양에 의해 녹게 되며, 지구를 구성했던 원자와 분자는 흩어진 상태로 우주를 떠돌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원문출처 : Sydney Newington |
|
Die Zauberflote (The Magic Flute), K. 620, Act II: Final Chorus
Performed by: Slovak Philharmonic Chorus
Slovak Radio Symphony Orchestra
Conducted by: Johannes Wildner
| | | | |